자주 묻는 질문

[해양수산부] 항만배후단지 내 제조물류업(수출입기업) 투자유치?

  • 부서

    항만물류기획과

  • 담당자

    박성우

  • 전화번호

    044-200-5752

  • 등록일

    2014.12.23.

  • 조회수

    11888

  • 첨부파일

□ 사업내용

주요항만 중심으로 경쟁력 있는 항만배후단지(복합물류단지) 조성

- 국내외 유망 물류‧제조기업을 적극 유치하고, 연관산업을 발전시켜 물동량 증가↔고용‧부가가치 창출의 선순환 구조 완성

* `13년말 기준 총 125개 기업 유치, 향후 `15년까지 총 2,788천m2 공급 예정

    

□ 관련산업현황

(물류업) 전체 유치기업(125개) 중 운송업, 창고업 포함 물류기업 비중은 80%(100개)로 입주기업의 대부분을 차지

- 외국기업 투자 및 파트너쉽을 통해 국내물류와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활용으로 수출입 및 환적 물동량 확보

    

(제조업) 그간 물동량 창출기반 선정방식으로 제조업 입주가 저조(전체기업 중 20%)하였으나, 항만별 특화된 제조업은 꾸준히 입주

- 투자효과 측면에서 외투액(1,080억)은 33%를 차지할 정도로 투자효과가 탁월하고, 물류기업에 비해 정규직 고용비중이 높음 

    

(주요사례:BIDC) 글로벌기업 Amway의 동북아 물류센터 설치

* Amway社의 판매물품을 미국 등 생산지에서 대량 Bulk 반입 후, 부산 신항에서 개별 주문내역에 따라 소분․재포장하여, 중국․일본․한국 등으로 반출

    

□ 투자기회요인

지정학적 입지 강점, 촘촘한 피더네트워크, 자유무역지역 지정 등 기업활동에 편리한 물류 비즈니스 환경이 조성됨

- 유럽~아시아~북미의 주 간선항로 상에 위치하며, 국제항로는 주당 368항차로 풍부한 노선을 운영

- 부산신항, 광양항, 평택당진항은 자유무역지역 지정으로 통관절차 간소화, 저렴한 임대료 및 세제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단순 보관 및 저장기능이 아닌 검품‧조립‧재포장‧분류‧라벨링‧검수‧가공 등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로 부가가치 창출 가능

- 배후단지 인근 산업과 연계한 수출입모델로 기업 국제경쟁력 제고

    

□ 정부지원사항

ㅇ 입주기업 선정평가 및 사후관리 제도개선(예정)으로 제조기업 입주활성화를 위한 물류기업과 동등한 입주환경 조성

- 선정평가시 제조기업 수출액 비중 50→30%로 완화 및 고용비중 확대, 실적평가시 물동량 창출 비중 축소 및 고용창출 비중 확대

    

자유무역지역 지정, 합동간담회 정례화(입주기업 애로요인 상시해소), 기업 마케팅 지원 등 입주기업 활동 적극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