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
해양산업의 블루오션, 해양심층수 산업 육성책
-
부서
홍보담당관
-
담당자
관리자
-
등록일
2015.05.15.
-
조회수
3349
해양산업의 블루오션, 해양심층수 산업 육성책
- 해양심층수란?
-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아래에 존재하는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유기물·병원균이 거의 없는 청정 수자원"
우리나라 동해 해양심층수는 동해 해수전체의 약 95%차지
- 활용분야
- 먹는물 식품 산업, 해양 에너지, 농·수산업, 의·약재 기능성 제품
국내·외 해양심층수 산업 현황
- 일본(Japan)
-
- 14개현, 1,000여종의 해양심층수 제품 생산
- 약 3조원 규모(2010년)의 시장 창출 - 대만(Taiwan)
-
- 식품, 주류, 화장품, 시장 활성화(공영개발)
- 시장규모 250여종, 6천억원 - 미국(U.S.A)
-
- 신재생에너지 및 종묘 양식
- 자연에너지 연구소 내 벤처기업 34개 입주
- 연간 220여명 고용, 경제효과 4천만$ - 한국(Korea)
-
- 먹는 물·식품 산업 위주
- 해양심층수 개발업체 8개
국내 해양심층수 매출액
강원(고성), 경북(울릉)을 중심으로 약 69종의 제품생산(54종이 먹는 물)
- 2008년
- 57억원
- 2009년
- 81억원
- 2010년
- 85억원
- 2011년
- 120억원
- 2012년
- 110억원
- 2013년
- 113억원
- 2014년
- 110억원
해양심층수 융·복합 산업 육성방안
- 식품산업 확대
-
이용부담금 인하, 유효기간 확대
유통체계 개선(대형 유통망 판매 지원)
'해양심층수 처리수' 식품 이용 범위 확대 - 고부가가치 산업화 기반 조성
-
해양심층수 산업 클러스터 조성
해양심층수 응용기술 개발
해양에너지 개발 - 홍보 및 정책지원 강화
-
공동브랜드 개발
해양심층수 제품 온라인 몰 개설
해양심층수 인증제 및 산업클러스터 지원 - 관계부처·기관 협업체계 구축
- 관계기관의 유사사업과 협업을 통해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
기대효과(2024년까지)
- 생산유발 효과
- 1조 4,500억원
- 부가가치 효과
- 5,800억원
- 고용유발 효과
- 14,020명
-
다음글
-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