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
(설명) 항만 현장 안전관리에 적합한 재해통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항만안전보안과)
-
부서
항만안전보안과
-
담당자
박명래
-
전화번호
044-200-5791
-
등록일
2025.10.16.
-
조회수
183
-
첨부파일
항만 현장 안전관리에 적합한
재해통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단독]] 항만 산재 매년 330명…해수부 통계엔 구멍(서울경제, 10.16) 보도 관련
< 보도 주요 내용 >
□ 항만 산업재해 통계는 산재발생 장소에 따라 분류되고 있지 않아 실제 항만 산재가 더 있을 것이라는 우려
□ 사업체가 항만하역 업종이 아니면 항만하역 재해 현황에 포함되지 않음
< 설명 내용 >
□ 산업재해 통계는 사업 등록지 기준으로 집계되어, 재해 발생 현황이 항만별로 구분되지 않고, 검량 사업 등 일부 업종은 육상과 해상업종 구분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습니다.
□ 이에 해양수산부는 항만에서 실제 발생하는 재해 현황을 파악하여 항만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재해통계 구축 방안을 연내 마련할 계획입니다.
□ 앞으로 해양수산부는 항만근로자의 안전사고 예방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재해통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단독]] 항만 산재 매년 330명…해수부 통계엔 구멍(서울경제, 10.16) 보도 관련
< 보도 주요 내용 >
□ 항만 산업재해 통계는 산재발생 장소에 따라 분류되고 있지 않아 실제 항만 산재가 더 있을 것이라는 우려
□ 사업체가 항만하역 업종이 아니면 항만하역 재해 현황에 포함되지 않음
< 설명 내용 >
□ 산업재해 통계는 사업 등록지 기준으로 집계되어, 재해 발생 현황이 항만별로 구분되지 않고, 검량 사업 등 일부 업종은 육상과 해상업종 구분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습니다.
□ 이에 해양수산부는 항만에서 실제 발생하는 재해 현황을 파악하여 항만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재해통계 구축 방안을 연내 마련할 계획입니다.
□ 앞으로 해양수산부는 항만근로자의 안전사고 예방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