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
(참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 브리핑(286차, 서면)
-
부서
수산정책과
-
담당자
박솔잎
-
전화번호
044-200-5433
-
등록일
2025.05.22.
-
조회수
728
-
첨부파일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종문 국무1차장 -
< 1. 인사말씀 >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 2.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 및 후쿠시마 원전 시설 방문 활동을 통해 방류설비의 상태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고, IAEA와 일본 측으로부터 방류 준비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
① IAEA 현장사무소 방문
□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또한, IAEA는 지난 5월 16일에 도쿄전력의 13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 채취 과정에 입회하였으며, 해당 시료를 독립적으로 자체 분석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② 원전 시설 방문
□ 다음으로, 우리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주요 설비와 시설의 상태 및 방류 준비 상황 등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 확인 결과, 이송설비 구역과 전기기기실의 순환·이송펌프, 오염수 유량계와 유량조절밸브 등 설비의 상태에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 또한, 도쿄전력 측과 질의응답을 통해 도쿄전력이 현재 13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며,
○ 14차 방류 대상 오염수는 측정?확인용 탱크(K4-A군)로 이송 중임을 확인했습니다.
○ 아울러, 지난 2월 14일부터 시작된 J9 구역의 일반저장탱크(총 12기) 해체 작업이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탱크 6기가 해체 완료되었음을 파악했습니다.
□ 한편, 도쿄전력은 작년 10차 방류 종료(‘24.11월) 이후 해당 방류의 측정?확인에 사용된 탱크(K4-B군)의 상세 점검을 지난 4월 24일에 완료하였고, 방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 이상입니다.
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브리퍼 : 해양수산부 송명달 차관 -
< 1. 인사말씀 >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 5월 21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73건과 278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갑오징어 23건, 넙치 20건, 바지락 16건, 꽃게 14건, 조피볼락 12건
□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조기, 병어, 갈치 등 40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781건을 선정하였고, 776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5월 3주차 12건(방어, 달고기, 바지락 등) 선정
○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베트남 주꾸미, 러시아 가오리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20건을 선정하였고, 217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5월 3주차 일본 명태, 노르웨이 고등어, 러시아 가자미
□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108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갈치, 바지락 등 13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에서 입항한 선박 8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515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경북 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등 3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5월 2주(’25.5.5~5.9) 분석 의뢰한 전국 16개소 검사완료
□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남서해역 12개지점, 서북해역 7개지점, 서중해역 8개지점, 동북해역 3개지점, 원근해 14개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 세슘134는 리터당 0.063 베크렐 미만에서 0.093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63 베크렐 미만에서 0.087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7 베크렐 미만에서 7.1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 (134Cs) <0.063~<0.093Bq/L, (137Cs) <0.063~<0.087q/L, (3H) <6.7~<7.1Bq/L
○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이상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 1. 인사말씀 >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5월 19일에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5월 14일에 2개, 5월 15일· 19일에 각각 1개, 총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3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3~<7.7(검출하한치 미만)
** 3~10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7~<7.7(검출하한치 미만)
□ 이상입니다.
-
다음글
-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