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
(설명) 마른김, 조미김 소매가격은 안정적이며 물김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부서
어촌양식정책과
 - 
							
담당자
이예진
 - 
							
전화번호
044-200-5614
 - 
						
등록일
2024.12.02.
 - 
						
조회수
1142
 - 
						
첨부파일
 
마른김, 조미김 소매가격은 안정적이며
물김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국민 반찬’ 김 비싸서 못 먹을라”... 때아닌 ‘사재기’ 무슨 일?(11.30. 한국경제)
< 보도 주요 내용 >
□ 고수온으로 김 수확 시기가 늦어진 상황에서 재고가 부족한 업체들이 물김 확보를 위해 한꺼번에 뛰어들며 물김 가격이 상승 중
< 설명 내용 >
□ 물김(마른김?조미김의 원료) 가격은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물김 생산량의 대부분(약 80%)을 차지하는 ‘방사무늬김’(김밥 및 도시락김 주원료) 생산이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전체 김 원료 수급도 안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아울러, 상기 기사에서 언급된 물김은 잇바디돌김(일명 곱창김)인데, 생산 초기 가격이 높았으나, 11월부터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산지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물김 출하량(톤): (‘24.10월) 260 → (’24.11월 1~3주) 15,523
** 물김 산지가격(원/kg): (11월 1주) 5,044 → (11월 2주) 5,335 → (11월 3주) 4,703(전주비, △11.8%)
□ 참고로, 국민들이 즐겨 섭취하는 마른김 및 조미김 소매가격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마른김 소비자가격(원/10장): (‘24.10월) 1,369 → (’24.11월) 1,388(전월비, 1.3%)
** 조미김 소비자가격(5g×20봉): (‘24.10월) 10,173원 → (’24.11월) 9,832(전월비, △3.4%)
□ 해양수산부는 김 가격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하며 김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