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25년 3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 9,028만 톤 처리
-
부서
항만물류산업과
-
담당자
주현선
-
전화번호
044-200-5018
-
등록일
2025.10.29.
-
조회수
1667
-
첨부파일
2025년 3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 9,028만 톤 처리
- 총 항만물동량(컨 및 비컨)은 전년 대비 1.1% 감소했으나, ‘컨’ 물동량은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790만 TEU 처리
《 총괄 》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025년 3분기에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9,455만 톤)보다 1.1% 감소한 총 3억 9,028만 톤(수출입화물 3억 3,668만 톤, 연안화물 5,360만 톤)의 물량을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 총 물동량 증감률(전년 대비 %) : 2025.7월△2.2→8월△1.7→9월+0.8 / 2025.7~9월△1.1
2025년 3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3,668만 톤)와 동일한 3억 3,668만 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5,787만 톤) 대비 7.4% 감소한 5,360만 톤이었다.
[ 전국 무역항 항만 물동량(2025년 3분기) ]
(단위 : 만 톤, 전년 동기 대비%)
구 분 | 2022년 3분기 | 2023년 3분기 | 2024년 3분기 | 2025년 | ||||
7월 | 8월 | 9월 | 3분기 | |||||
총물동량 | 39,154 | 38,350 | 39,455 | 13,052 | 13,296 | 12,681 | 39,028 | |
전년 동기 대비 | △1.9 | △2.1 | 2.9 | △2.2 | △1.7 | 0.8 | △1.1 | |
| 수 출 입 | 32,904 | 32,646 | 33,668 | 11,274 | 11,453 | 10,941 | 33,668 (0.0) |
| 연 안 | 6,250 | 5,703 | 5,787 | 1,778 | 1,843 | 1,739 | 5,360 (△7.4) |
《 컨테이너 화물 》
2025년 3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784만 TEU) 대비 0.7% 증가한 790만 TEU로 집계되었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435만 TEU) 대비 0.8% 증가한 438만 TEU를 처리하였다. 전체 수출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217만 TEU) 1.8% 증가한 221만 TEU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5.8%) 등의 수출 물동량 감소와 중국(7.0%) 등의 수출 물동량 증가가 함께 나타났다. 한편, 전체 수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218만 TEU) 0.3% 감소한 217만 TEU로 집계되었으며 중국(6.8%) 등의 수입 물동량이 증가했으나 미국(△7.1%) 등의 수입 물동량은 감소했다.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45만 TEU)에 비해 0.6% 증가한 347만 TEU를 기록하였다. 미국(△2.0%) 등의 환적 물동량이 감소한 가운데 캐나다(26.0%), 칠레(44.5%) 등의 환적 물동량이 증가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0월 추석연휴에 따른 기저효과로 3분기 수출입 물동량이 전년 대비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나, 본격적인 회복세로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서 조기선적(Front-loading) 수요가 종료되어 3분기 환적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 수출입 ‘컨’(전년대비 %) : 1분기428만TEU(△1.5%) → 2분기453만TEU(△0.6%) → 3분기438만TEU(0.8%)
** 환적 ‘컨’(전년대비 %) : 1분기362만TEU(6.7%) → 2분기370만TEU(5.3%) → 3분기347만TEU(0.6%)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물동량(2025년 3분기) ]
(단위 : 천 TEU, 전년 동기 대비%)
구 분 | 2022년 3분기 | 2023년 3분기 | 2024년 3분기 | 2025년 | ||||
7월 | 8월 | 9월 | 3분기 | |||||
총물동량 | 7,132 | 7,557 | 7,844 | 2,703 | 2,551 | 2,643 | 7,897 | |
전년 동기 대비 | △3.8 | 6.0 | 3.8 | △0.4 | △4.8 | 7.8 | 0.7 | |
| 수 출 입 | 4,068 | 4,323 | 4,349 | 1,501 | 1,418 | 1,463 | 4,382(0.8) |
환 적 | 3,005 | 3,192 | 3,452 | 1,189 | 1,118 | 1,165 | 3,472(0.6) | |
| 연 안 | 58 | 42 | 42 | 14 | 14 | 15 | 43(1.5) |
주요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604만 TEU)에 비해 0.8% 증가한 609만 TEU를 처리하여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편, 3분기 물동량 증가율은 2분기(3.1%) 대비 둔화세를 보였는데, 이는 미 관세정책 강화에 대비해 발생했던 조기선적이 종료됨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세부적으로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269만 TEU)에 비해 0.1% 감소한 268.8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35만 TEU) 대비 1.6% 증가한 340만 TEU를 기록했다. 수출입 물동량의 경우 미국(△7.2%), 멕시코(△20.9%) 등의 감소가, 환적 물동량의 경우 캐나다(26.2%), 칠레(46.3%) 등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인천항은 중고자동차 컨테이너 수출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86.6만 TEU) 대비 0.9% 증가한 87.3만 TEU를 처리하였다. 수출입 물동량은 중국(8.5%) 등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85만 TEU) 대비 1.0% 증가한 86만 TEU를 기록하였고,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1.1만 TEU) 대비 5.5% 감소한 1만 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51만 TEU) 대비 1.5% 감소한 50만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 물동량은 중국(15.2%) 등의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42만 TEU) 대비 6.1% 증가한 45만 TEU를 처리하였다. 이는 주요 글로벌 원양선사의 유럽향 서비스 신규 유치(2025.9월)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8.7만 TEU) 대비 38.3% 감소한 5.3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비컨테이너 화물 》
2025년 3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2억 5,332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5,710만 톤) 대비 1.5% 감소하였다. 평택·당진항, 인천항은 증가하였고 광양항, 울산항은 감소하였다.
* ‘비컨’ 물동량 증감률(전년대비 %) : 2025.7월△3.1→8월+0.0→9월△1.4 / 2025.7~9월△1.5
광양항은 원유(△9.2%), 석유정제품(△7.5%) 등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6,080만 톤) 대비 5.3% 감소한 5,758만 톤을 기록하였다.
울산항은 차량 및 그 부품(3.9%), 원유(0.8%)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석유정제품(△6.5%) 물동량은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4,874만 톤) 대비 0.4% 감소한 4,856만 톤을 기록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차량 및 그 부품(18.0%) 물동량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2,464만 톤) 대비 1.0% 증가한 2,490만 톤을 기록하였다.
인천항은 원유(△11.2%)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석유정제품(8.5%), 석유가스(24.4%) 물동량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2,219만 톤) 대비 2.4% 증가한 2,271만 톤을 기록하였다.
[ 전국 무역항 비컨테이너 물동량(2025년 3분기) ]
(단위 : 만 톤, 전년 동기 대비%)
구 분 | 2022년 3분기 | 2023년 3분기 | 2024년 3분기 | 2025년 | ||||
7월 | 8월 | 9월 | 3분기 | |||||
총물동량 | 26,617 | 25,239 | 25,710 | 8,343 | 8,835 | 8,154 | 25,332 | |
전년 동기 대비 | △0.2 | △5.2 | 1.9 | △3.1 | 0.0 | △1.4 | △1.5 | |
| 수 출 입 | 20,418 | 19,578 | 19,975 | 6,584 | 7,007 | 6,432 | 20,023 (0.2) |
| 연 안 | 6,199 | 5,661 | 5,736 | 1,760 | 1,827 | 1,722 | 5,309 (△7.4) |
품목별로 보면 유류, 자동차(부품포함), 유연탄은 각각 0.7%, 1.8%, 6.3% 증가하였고 광석, 철강은 각각 10.3%, 14.4% 감소하였다.
유류는 전년 동기(1억 1,646만 톤) 대비 0.7% 증가한 1억 1,724만 톤을 기록하였다.
* 유류(만 톤, %) : 원유 3,625(△2.6), 석유정제품 5,237(△5.0), 가스 2,861(+18.6)
* 유류 월별 증감률(전년대비 %) : 2025.7월△0.2→8월+2.7→9월△0.5 / 2025.7~9월+0.7
광석은 전년 동기(3,157만 톤) 대비 10.3% 감소한 2,833만 톤을 기록하였다.
* 광석 월별 증감률(전년대비 %) : 2025.7월△15.1→8월△7.1→9월△7.0 / 2025.7~9월△10.3
자동차는 전년 동기(2,361만 톤) 대비 1.8% 증가한 2,405만 톤을 기록하였다.
* 자동차 월별 증감률(전년대비 %) : 2025.7월△0.5→8월+0.9→9월+5.8 / 2025.7~9월+1.8
유연탄은 전년 동기(3,201만 톤) 대비 6.3% 증가한 3,402만 톤을 기록하였다.
* 유연탄 월별 증감률(전년대비 %) : 2025.7월+0.9→8월+6.2→9월+12.3 / 2025.7~9월+6.3
철강은 전년 동기(1,849만 톤) 대비 14.4% 감소한 1,583만 톤을 기록하였다.
* 철강 월별 증감률(전년대비 %) : 2025.7월△9.4→8월△13.4→9월△21.8 / 2025.7~9월△14.4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가운데, 수출입 및 환적 물동량 증가로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다만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어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참고) 보도자료에 수록된 수치는 원시데이터를 만 단위(TEU는 천 단위)로 조정한 수치이고 증감률은 원시데이터 간 비교하여 적용한 수치입니다. 다만, 통계 재생성(분기, 반기 등) 시 일부 수치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다음글
-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