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마른 김 가공업체, 새 설비 달고 경쟁력 확보

마른 김 가공업체, 새 설비 달고 경쟁력 확보

- 경영여건 개선 및 친환경 수산가공업 육성 기대 -

 

  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올해 신규사업인 수산가공분야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사업의 일환으로 히트펌프식 김 건조설비 설치지원한 결과, 1125()에 충남 서천에 위치한 김 가공업체*에서 처음 가동된다고 밝혔다.

 

  * 삼해수산영어조합법인, 따봉수산영어조합법인

 

  김은 지난해 수출 5.8억 달러를 달성한 대표 수산물 수출품목이자, 10년간 산업 규모가 5배 이상 성장한 유망 품목이다. 그러나, 전국에 400여곳으로 추산되는 마른 김 가공업체들은 외부로의 열 손실이 많은 전기히터 또는 온풍기를 이용하여 김을 건조함에 따라 건조설비 운영비에 대한 부담이 컸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수산가공업의 경영여건을 개선하고, 수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올해부터 지자체와 함께 에너지절감시설인 히트펌프식 김 건조설비보급사업*을 시작하였다.

 

  * 1개 업체당 건조설비 45기 설치 지원, 국비 50 / 지방비 30 / 자부담 20으로 구성

 

  , 올해는 국비 23억 원을 투입하여 충남과 전남에서 선정한 마른 김 가공공장 10개소*를 지원한 결과, 이달 말에 건조설비 설치사업이 준공되는 2개소를 비롯하여 올해 총 7개소에 건조설비 설치가 마무리된다. 마른 김 가공업체들이 통상 매년 11월부터 차년도 4월경까지 김을 가공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올해 건조설비 설치가 완료되는 가공업체은 건조설비 즉시 가동에 따른 경영비 절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

 

   * 충남 4개소(서천 4), 전남 6개소(고흥 3, 완도 1, 진도 1, 해남 1)

  히트펌프식 김 건조설비는 물김을 마른 김으로 가공할 때 발생하는 다량의 고온다습한 수증기를 모아 수분은 제거하고 열에너지만 남겨 를 재활용하는 설비다. 이 설비는 에너지 효율이 높아 동일한 에너지를 사용하더라도 기존의 설비보다 월 평균 1,800만 원의 경영비가 절감*될 수 있고, 중형차 400대가 연간 배출하는 약 839톤 규모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효과도 있어 대기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산출기준 : 5,000(1=100) 생산 규모의 마른 김 가공공장이 100(24시간)동안 가동했을 때의 절감수준

 

  성희 해양수산부 수출가공진흥과장은 마른 김 가공공장에 에너지 감시설을 보급함으로써 가공업체의 경영여건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환경 수산가공업을 육성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해 마른 김 가공업체 지원사업의 효과와 개선사항을 지속 발굴하여 른 김 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수산업종으로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