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소식

2020년 7월 수출입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17.2% 감소

  • 관리자
  • 2020-08-24 10:03:34
  • 조회수:1231
다운로드 200821(조간) 2020년 7월 수출입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17.2% 감소(항만운영과, 항만물류기획과).hwp
2020년 7월 수출입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17.2% 감소
- ‘컨‘ 물동량(TEU)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 -


 
《 총 괄 》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7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1,997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4,090만톤) 대비 14.9%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4) 12,184만톤(8.9%↓), (’20.5) 11,874만톤(12.0%↓), (’20.6) 11,472만톤(17.9%↓)

 

 ㅇ 수출입 물동량은 산업용 에너지 소비량 감소가 발전용 연료(유연탄 등)의 수입 감소와 적(積) 컨테이너 수송량 감소 등으로 이어지면서 전년 동월(1억 2,366만톤) 대비 17.2% 감소한 총 1억 246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20.4) 10,345만톤(11.6%↓), (’20.5) 10,032만톤(14.0%↓), (’20.6) 9,755만톤(19.8%↓)

 

 ㅇ 연안 물동량은 유류 및 광석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1,724만톤) 대비 1.6% 증가한 총 1,751만 톤을 처리하였다.


ㅇ 부산항은 세계적인 경기 둔화로 인한 컨테이너 화물 중량(내품)의 감소세에 따라 전년 동월보다 물동량이 크게 감소(-20.7%)했으며, 광양항(-8.8%), 울산항(-7.4%) 및 인천항(-11.3%) 물동량도 감소하였다.


ㅇ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등)와 광석, 유연탄, 철제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8.1%, 10.6%, 21.9%, 22.9% 감소하였다. 

 

《 컨테이너 화물 》

 

□ 7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월(251만TEU) 대비 4.9% 감소한 239만 TEU를 기록하여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된다.

 

    * (’20.4) 243만TEU(2.5%↓), (’20.5) 232만TEU(9.1%↓), (’20.6) 236만TEU(4.5%↓)

 

 ㅇ 수출입은 전년 동월(145만TEU) 대비 4.8% 감소한 138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4) 139만TEU(3.9%↓), (’20.5) 130만TEU(11.0%↓), (’20.6) 133만TEU(6.1%↓)

 

 ㅇ 환적은 전년 동월(104만TEU) 대비 5.0% 감소한 99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4) 103만TEU(0.5%↓), (’20.5) 100만TEU(6.5%↓), (’20.6) 102만TEU(2.2%↓)




□ 한편, 전년 동월 대비 적(積) 컨테이너 처리 실적(4.8%↓)과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5.1%↓)이 모두 감소하여 컨테이너 화물 중량(내품*)을 기준으로 2020년 7월 처리량은 4,090만 톤(18.6%↓)으로 집계되었다.

 


    * 내품 : 컨테이너 안에 실제로 적재되어 있다고 신고된 화물의 양

 

    * (4월) 3,971만톤으로 전년 동월(4,638만톤) 대비 14.4% 감소(5월) 3,801만톤으로 전년 동월(4,759만톤) 대비 20.1% 감소(6월) 3,978만톤으로 전년 동월(5,098만톤) 대비 22.0% 감소(7월) 4,090만톤으로 전년 동월(5,025만톤) 대비 18.6% 감소


□ 항만별로 살펴보면,

 

 ㅇ 부산항은 전년 동월(189만TEU) 대비 7.6% 감소한 175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4) 182만TEU(2.4%↓), (’20.5) 170만TEU(11.5%↓), (’20.6) 175만TEU(5.5%↓)

 

   - 수출입은 전년 동월(90.9만TEU) 대비 12.5% 감소한 79.5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중국(6.6%↑)을 제외한 부산항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감소(미국 11.9%↓, 일본 21.3%↓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환적은 전년 동월(98.6만TEU) 대비 3.0% 감소한 95.6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 역시 중국(9.2%↑)을 제외한 주요국 환적 물동량 감소(미국(14.2%↓), 일본(16.6%↓))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ㅇ 광양항은 전년 동월(19.6만TEU) 대비 9.6% 감소한 17.7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4) 18.1만TEU(10.5%↓), (’20.5) 18.3만TEU(13.9%↓), (’20.6) 17.7만TEU(15.2%↓)

 

   - 수출입은 전년 동월(14.3만TEU)대비 3.8% 증가한 14.9만 TEU를 처리하였다.

 

   - 환적은 전년 동월(5.3만TEU) 대비 46% 감소한 2.8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영향 지속 및 기항선대 축소(주요 얼라이언스 원양 서비스 통합?폐지)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ㅇ 인천항은 전년 동월(26.4만TEU) 대비 10.3% 증가한 29.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4) 27.7만TEU(0.9%↑), (’20.5) 28.1만TEU(4.2%↑), (’20.6) 28.4만TEU(7.0%↑)

 

   - 수출입은 전년 동월(26.2만TEU) 대비 9.4% 증가한 28.6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연초 개설한 신규항로(중국·베트남·싱가포르 등)로의 교역량 증가*, 공컨 수출 증가** 등의 영향이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중국) 적컨 11.6만TEU(1.4만TEU↑, 12.3%), (베트남) 적컨 3만TEU(0.3만TEU↑, 9.8%)(싱가포르) 적컨 2.5천TEU(800TEU↑, 47.6%)


   ** 공컨 8.8만TEU(0.9만TEU증가, 10.9%) / 對중국 수입량 증가에 기인

 

   - 환적은 전년 동월(2천TEU) 대비 소폭 증가한 5천 TEU를 처리하였다.


□ 세계 10대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2020년 상반기 물동량은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른 교역량 감소가 지속*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 (10대항만물동량합계) 전년 동월 대비 2월10.8%↓, 3월3.4%↓, 4월4.6%↓, 5월5.4%↓, 6월0.7%↓(6월 글로벌 교역량(0.7%↓)은 중국 내수 촉진 및 확장 정책에 따른 물동량 증가(선전항 5.7%↑, 광저우항 8.5%↑, 칭다오항 4.4%↑, 텐진항 10.5%↑)로 다소 선방)

 

 ㅇ (상반기) 상하이항이 2,006만 TEU(전년동기대비6.9%↓)를 처리하여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싱가포르항(1,784만TEU, 1.8%↓), 닝보-저우산항(1,325만TEU, 4.7%↓), 선전항(1,107만TEU, 10.8%↓), 광저우항(1,076만TEU, 1.6%↓)이 2~5위,

 

   - 부산항(1,075만TEU, 2.2%↓)은 세계 6위(전년동기5위*)를 기록(5위광저우항과1만 TEU차이)하였고, 칭다오항(1,034만TEU, 0.3%↑)이 뒤를 이었다.

 

    * 중국 내수(주강 삼각주 기업 등) 물량 수요를 광저우항에 집중하면서 소폭 역전 발생(’19년 상반기 물동량 처리량 : 부산(1,099만TEU, 5위), 광저우(1,094만TEU, 6위))

 

《 비컨테이너 화물 》

 

□ 전국 항만의 7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7,907만 톤으로 전년 동월(9,065톤) 대비 12.8% 감소하였으며, 광양항과 울산항, 평택·당진항 등 대부분 항만에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 (’20.4) 8,213만톤(6.0%↓), (’20.5) 8,073만톤(7.6%↓), (’20.6) 7,494만톤(15.6%↓)


 ㅇ 광양항은 약 60%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관련 물동량 감소와 철강제품의 수요(내수 및 수출) 감소로, 제품 생산 소재인 광석(철광석, 기타광석) 및 유연탄의 수입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전년 동월(2,228만톤) 대비 6.9% 감소한 2,075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울산항은 글로벌 수요 감소에 따른 석유제품 물동량 감소, 주요 차량 수출국 판매 수요 위축으로 인한 수출자동차 생산량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1,630만톤) 대비 8.0% 감소한 1,500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평택·당진항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철강생산 및 해외 수출이 감소하고 발전용 LNG가스 수요도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823만톤) 대비 13.4% 감소한 713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인천항은 유류 제품의 소비 감소에 따른 유류 수입량 감소, 발전 수요 감소에 따른 유연탄 물동량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 동월(842만톤) 대비 16.2% 감소한 705만 톤을 기록하였다.


□ 품목별로 보면 유류, 광석, 유연탄, 자동차가 각각 8.1%, 10.4%, 21.9%, 26.7% 감소하였다.

 

 ㅇ 유류는 글로벌 수요 감소에 따른 석유제품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3,942만톤) 대비 8.1% 감소한 3,622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광석은 철강제품의 내수 및 수출 물동량 감소로 인해 철강제품 생산공장이 소재한 평택·당진항, 광양항, 포항항의 수입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1,203만톤) 대비 10.4% 감소한 1,078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유연탄의 경우 화력발전소가 소재한 대산항, 보령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인천항, 하동항, 삼천포항은 감소했으며, 철강제품 공장이 소재한 광양항과 포항항의 수입 물동량도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1,308만톤) 대비 21.9% 감소한 1,022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자동차는 세계 주요 자동차공장이 점진적으로 가동율을 회복함에 따라 5월 이후 울산항, 평택·당진항, 목포항의 수출 물동량은 소폭증가 추세이며, 6월 이후 평택·당진항과 인천항의 수입 물동량도 조금씩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년 동월(729만톤) 대비 26.7% 감소한 534만 톤을 기록하였다.


□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코로나19 확산세 지속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당분간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이러한 어려움을 함께 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긴급 경영자금 지원 등 해운항만분야 지원정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전글이전 HMM 21분기 만에 영업이익 흑자전환, 2025년 해운매출 51조 원, 지배선대 1억 톤, 원양 컨 선복량 120만 TEU 목표
다음글다음 2019년 연근해어선 전년 대비 657척 줄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