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소식

올해 1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

  • 관리자
  • 2022-04-26 09:25:02
  • 조회수:2758
다운로드 220425(조간) 올해 1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0.6_ 증가(항만운영과, 항만물류기획과).hwpx
220425(조간) 올해 1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0.6_ 증가(항만운영과, 항만물류기획과).pdf
올해 1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
-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723만 TEU 처리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2년 1분기에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8,676만 톤) 대비 0.6% 증가한 총 3억 8,900만 톤(수출입화물 3억 3,121만 톤, 연안화물 5,779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석유화학제품과 원유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철광석, 자동차 물동량이 줄어들어 수출입 화물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3,368만 톤) 대비 0.7% 감소한 3억 3,121만 톤으로 집계되었고, 유류, 시멘트, 유연탄 물동량 증가로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5,308만 톤) 대비 8.9% 증가한 5,779만 톤을 처리하였다.

 

  항만별로는 울산항과 부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3%, 0.2% 증가하였고 광양항,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2.1%, 3.5% 감소하였다.


《 컨테이너 화물 》

 

  2022년 1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733만 TEU) 대비 1.3% 감소한 723만 TEU를 처리하였다.

 

  수출입은 전년 동기(426만 TEU) 대비 3.2% 감소한 413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전기전자·철강제품 수출 증가세 유지로 대(對) 미국 수출입은 증가(9.4%↑)하였으나 중국, 일본 등 주요 교역국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중국 5.2%↓, 일본 2.4%↓ 등) 영향으로 수출과 수입 모두 감소하였다. 다만, 환적물량은 전년 동기에 비해 1.3% 증가한 306만 TEU를 처리하였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555만 TEU)에 비해 0.4% 감소한 553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대미(對美) 물동량이 큰 폭으로 증가(6.8%↑)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2.0%↓), 일본(3.2%↓) 등의 물동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기(262만TEU)에 비해 1.2% 감소한 259만 TEU의 수출입 물동량을 처리하였고, 환적은 전년 동기(293만TEU) 대비 0.3% 증가한 294만 TEU를 처리하였다. 이는 미국(7.6%↑), 일본(1.4%↑) 등의 환적 물동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항은 전년 동기(83만 TEU) 대비 10.1% 감소한 75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수출입은 전년 동기(81만 TEU) 대비 9.3% 감소한 73만 TEU을, 환적은 전년 동기(2.1만 TEU) 대비 35.6% 감소한 1.3만 TEU을 처리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1분기의 기저효과*와 중국 항만 폐쇄조치에 따른 영향 등으로 분석된다.

 

   * ‘21.1월(‘20년 동월 대비 19.6% 증가), ‘21.2월(‘20년 동월 대비 37.9% 증가), ‘21.3월(‘20년 동월 대비 5.1% 증가)

 

  광양항은 전년 동기(50만 TEU) 대비 8.3% 증가한 54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은 미국과 베트남 물동량이 각각 37.3%, 9.7%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44.4만 TEU) 대비 0.2% 증가한 44.5만 TEU를 처리하였고, 환적은 전년 동기(5.5만 TEU) 대비 68.4% 증가한 9.3만 TEU를 처리하였다.

 

《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2년 1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2억 6,257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5,862만 톤) 대비 1.5% 증가하였다. 울산항과 대산항은 증가하였으나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은 감소하였다.

 

  광양항은 원유 수입 물동량과 석유화학제품(석유정제품, 화학공업제품)의 수출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제철산업(철광석 수입, 유연탄 수입, 철강제품 수출) 관련 물동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6,329만 톤) 대비 3.2% 감소한 6,128만 톤을 처리하였다.

 

  울산항은 원유 수입 물동량, 석유화학제품과 자동차의 수출 물동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4,320만 톤) 대비 12.3% 증가한 4,849만 톤을 처리하였으나, 석유가스 수입 물동량은 8.7% 감소하였다.

 

  인천항은 원유 및 석유가스 수입 물동량과 석유정제품 수출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유연탄 수입 물동량과 자동차 및 철강제품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2,726만 톤) 대비 0.5% 감소한 2,713만 톤을 처리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유연탄 수입 물동량과 자동차 수출 물동량은 증가했고, 석유가스와 철광석의 수입 물동량, 자동차 수입 물동량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2,698만 톤) 대비 1.3% 감소한 2,662만 톤을 처리하였다.

 

  대산항은 원유 수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유연탄과 석유정제품의 수입 물동량, 화학공업생산품 수출 물동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2,205만 톤) 대비 4.2% 증가한 2,299만 톤을 처리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와 유연탄은 각각 5.2%, 1.2% 증가하였으나 광석과 자동차는 각각 9.9%, 5.0% 감소하였다. 유류는 광양항과 울산항의 원유 수입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1억 1,719만 톤) 대비 5.2% 증가한 1억 2,328만 톤을 처리하였고, 광석은 광양항, 포항항, 평택당진항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기(3,549만 톤) 대비 9.9% 감소한 3,197만 톤을 처리하였다.

 

  전재우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코로나19와 세계 주요 항만의 연쇄적인 적체에도 불구하고 수출과 무역의 호조로 인해 2022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다만,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상해 등 주요 도시 봉쇄가 길어지고 있어, 이로 인한 수출입 물류 차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중국 현지 물류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 보도자료에 수록된 수치는 원시데이터를 만 단위(TEU는 천 단위)로 조정한 수치이고 증감률은 원시데이터 간 비교하여 적용한 수치입니다.
   다만, 통계 재생성(분기, 반기 등) 시 일부 수치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이전 2021년 우리나라 어업생산량 전년보다 1.2% 늘어
다음글다음 2021년 해양수산업 통계이용자 만족도 조사 안내입니다
목록